본문 바로가기

Knowledge/Internet

DNS와 작동 원리

DNS란?

- 호스트의 도메인 네임(www.****.com)을 IP주소(192.0.1.123) 혹은 IP주소를 도메인 네임으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으로, IP주소와 도메인 네임을 맵핑하는 일종의 데이터베이스이다.

 

- TCP/IP 프로토콜은 호스트를 구분하기 위해 IP주소 식별자가 필요하지만, 사용자가 인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DNS가 사용된다.

 

IP주소란?

IP프로토콜이 각 기기를 식별하고 IP통신을 하기 위해 부여되는 고유번호이다.

IP주소에는 IPv4와 IPv6 두 가지 버전이 있다.

 

- IPv4 : IPv4는 4개의 4자리 8진수로 이루어진 32비트 주소이다. 각 숫자는 점(.)으로 구분된다. (ex. 192.0.1.123)

- IPv6 : IPv6는 8개의 4자리 16진수로 이루어진 128비트 주소이다. 각 숫자는 콜론(:)으로 구분된다.

(ex. 1032:0:0:0:50:300:400d:2a0b)

 

Domain 구조

- 도메인은 임의로 변경되거나 생성될 수 없는 고유한 이름이다.

- 도메인은 '.'을 이용해 연결한 계층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를 격트리 구조라고 한다.

 

● 1단계 도메인

- 'kr, eu'등 국가를 의미하는 국가 코드 도메인(ccTLD)

- 'com'과 같이 목적에 따라 사용되는 일반 도메인(gTLD)

 

● 2단계 도메인

- 'co'(영리기업), 'go'(정부기관), 'or'(비영리기관), 'ac'(대학)과 같이 조직의 속성을 구분하는 도메인

 

● 3단계 도메인

- 조직이나 서비스의 이름을 나타내는 도메인

 

DNS 기본 동작

1. 웹브라우저에 주소 입력

2. Local DNS에게 주고의 hostname에 대한 IP주소 질의

2-1. DNS에 주소가 있으면 IP주소 제공 (종료)

2-2. DNS에 주소가 없으면 다른 DNS 네임 서버와 통신 (3번으로)

3. Root 네임 서버에게 도메인의 IP주소 질의

4. Root 네임서버는 'com'네임 서버에게 IP주소 질의 및 DNS서버에게 'com'네임 서버의 IP주소 제공

5. 'com' 네임 서버로부터 '***.com'의 네임 서버의 IP주소를 획득 및 제공

 

 

 

 

 

'Knowledge > Inter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서버(WS)와 웹 어플리케이션(WAS)에 대해  (0) 2024.02.26
호스팅  (0) 2023.11.01
웹 브라우저와 작동 원리  (0) 2023.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