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8) 썸네일형 리스트형 [React] Context-API React를 사용하다보면, 값을 전역적으로 관리하여야 할 때가 많다. 예를 들어, 테마나 언어 설정 등의 서비스 전반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들이 그렇다.부모 자식 간의 관계가 존재하는 컴포넌트 구조의 리액트 특성 상,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값이 무의미하게 전달을 위해 거쳐가야하는 컴포넌트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props drilling이라고 하고, 리액트에서는 해결법으로 Context API와 같은 전역 상태 관리 방식을 제안한다. props drilling?전역 상태 관리가 생겨난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props drilling에 대해 간단히 짚어보자.리액트에서는 컴포넌트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조적으로 설계하기 때문에, 상태나 값, 함수 등을 자식 컴포넌트에 전달.. [JAVA] Java 적응기 그동안 Node.js로만 개발을 해보았기 때문에 최근들어서는 Java를 이용해 백엔드를 구성해보는 시도를 하고있다.아무래도 처음 접해보는 언어이고 프레임워크이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해 반환한다'는 사실 외에 큰 차이가 있었고 이 부분에 적응하기 쉽지 않았다. 일단 가장 처음으로 겪은 차이점은, 어노테이션을 사용한 매핑 방식이었다.Node에서는 라우팅과 미들웨어로 요청을 처리하는데, Java에서는 전혀 다른 방식이다.app.get, app.post와 같이 라우트 메서드를 통해 처리하는 방식과 달리,@GetMapping, @PostMapping 과 같은 어노테이션이 메서드를 정의하거나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명시함으로 처리할 수 있다. 간단한 방식에 적잖이 놀라웠는데, 특히나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 [JS] Fuse.js 지난 포스트에서 손글씨를 텍스트로 추출하는 과정을 보였다.최대한 높은 정확도로 손글씨를 텍스트화 하였지만, 여전히 남은 오차를 줄일 방법이 필요했다.다른 라이브러리나 api 혹은 전처리나 후처리 등이 많이 있겠지만, 일단 서비스의 환경에 포인트를 맞추기로 하였다. 다행히도 해당 서비스에는 이미 작성된 유저 리스트가 존재한다.그 말은 즉, 유사한 텍스트로만 추출해도 비교를 통해 유추해낼 수 있다는 뜻이다.덕분에 어려운 길로 가지 않고 간단히 처리해볼 수 있었다. 흔히 검색 등에 사용되는 fuzzy-search 라이브러리인 Fuse.js를 여기에 적용해 볼 것이다.fuzzy-search란 간단히 말하면 입력받은 문자(패턴)과 유사한 문자열을 검색하는 '유사 검색'기술이다. 일단 설치부터 한다.npm i fu.. 이전 1 2 3 4 5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