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2) 썸네일형 리스트형 [Node] Body-Parser express는 기본적으로 body의 값을 undefined로 처리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요청을 하게 되면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app.post('/', (req, res) => { console.log(req.body); }); 콘솔 창에는 undefined라고 뜨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qs = require('qs'); const app = express(); app.post('/', (req, res) => { let body = ''; req.on('data', (chunk) => { body += chunk; }); req.o.. 웹 서버(WS)와 웹 어플리케이션(WAS)에 대해 웹 서버(Web Server)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HTTP요청을 받아 HTML, CSS, 이미지 등과 같은 정적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정적인 컨텐츠를 관리하기에 동적인 컨텐츠를 관리하는 WAS에 요청을 넘겨주고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해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웹 서버로는 Apache, Nginx, MS IIS 등이 있다.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웹 서버의 역할을 분리하여 처리하고자 제시된 것으로, 클라이언트로 부터 요청받은 동적인 컨텐츠를 처리하는 서버이다. - 동적 처리 : 전달받은 요청에 따라 동적인 컨텐츠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DB :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을 지원하여 데이터의 생성, 조회, 수정, 삭제 등의 기능.. 간단한 게시판 만들기 - 3 어쩌다보니 만든 로그인과 회원가입 버튼이 신경쓰여서 마저 만들기로 하였다. 먼저 헤더에 만들어둔 로그인과 회원가입 버튼을 수정해주었다. //header function Header(props) { return ( { event.preventDefault(); props.onChangeMode(); }}>My Home { event.preventDefault(); props.setMode('ACCOUNT'); }}>Create Account { event.preventDefault(); props.setMode('LOGIN'); }}>LOGIN ) } 로그인 버튼을 누르면 mode='LOGIN'으로 회원가입 버튼을 누르면 mode='ACCOUNT'로 변경된다. 로그인의 경우 function App() { ..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