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2) 썸네일형 리스트형 [HTML] Form Form input, textarea 등의 폼 요소를 이용해 웹 제작자가 아닌 웹 사용자에게도 문서를 작성해 게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위처럼 작성된 코드에서는 박스에 정보를 입력하고 제출을 눌러도 아무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다음과 같이 form 태그를 사용하면 원하는 링크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action을 통해 보내고자 하는 링크를 지정 //각 박스마다 name을 지정해주지 않으면 값이 전달되지 않음 폼 태그는 method라는 속성을 가지며 GET과 POST 두가지로 나뉜다 . GET과 POST 둘 다 웹브라우저에서 폼 데이터를 받아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나 GET은 URL의 쿼리 스트링으로 붙여 전송하고, POST는 숨겨서 보내는 차이가 있다. (쿼리 스트링(.. 호스팅 호스팅이란? 호스팅은 어떠한 서비스를 빌려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대형 서버를 빌려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크게 웹 호스팅, 서버 호스팅, 클라우드 호스팅이 존재한다. 직접 서버를 설치 및 관리하고 운영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개인이 하기에는 비용 등의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에 호스팅이 필요하다. 웹 호스팅 - 웹 호스팅은 외부의 서버의 일부를 빌려서 사용하는 것이다. - HTML, CSS, JavaScript 등을 이용해 만드는 웹 파일은 어디까지나 개인이 오프라인에서 만든 파일일 뿐 인터넷을 통해 배포된 상태가 아니다. 즉, 제작한 홈페이지를 다른 사용자가 화면 상으로 볼 수 없다. - 그렇기에 웹 호스팅 서비스를 빌려 웹문서의 배포를 가능하게 하고 도메인 연결을 할 수 있도록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DNS와 작동 원리 DNS란? - 호스트의 도메인 네임(www.****.com)을 IP주소(192.0.1.123) 혹은 IP주소를 도메인 네임으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으로, IP주소와 도메인 네임을 맵핑하는 일종의 데이터베이스이다. - TCP/IP 프로토콜은 호스트를 구분하기 위해 IP주소 식별자가 필요하지만, 사용자가 인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DNS가 사용된다. IP주소란? IP프로토콜이 각 기기를 식별하고 IP통신을 하기 위해 부여되는 고유번호이다. IP주소에는 IPv4와 IPv6 두 가지 버전이 있다. - IPv4 : IPv4는 4개의 4자리 8진수로 이루어진 32비트 주소이다. 각 숫자는 점(.)으로 구분된다. (ex. 192.0.1.123) - IPv6 : IPv6는 8개의 4자리 16진수로 이루어진 128비..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