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2) 썸네일형 리스트형 [MySQL] CRUD CRUD CRUD란 database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수행하며 가장 중요한 4가지 기능이다. - CREATE Create는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넣는 작업, 즉, Table에 데이터를 넣는 작업이다. 위와 같은 명령어로 데이터의 삽입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id와 같이 auto_increment 등의 기능이 있는 경우 굳이 값을 입력하지 않아도 조건에 맞게 알아서 값이 채워진다. - READ Read는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읽는 작업이다. ○ 전체 SELECT * FROM (table name); 의 명령어를 통해 table 전체의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 특정 SELECT (column name) FROM (table name); 의 명령어를 통해 table 일부의 데이터를 조회.. [MySQL] MySQL의 구조 MySQL My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마치 엑셀과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 쉽게 말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다룬다는 것은 엑셀에 데이터를 쓰고 읽고 관리하는 것을 코드화하여 다루는 것과 유사하다. MySQL의 구조 MySQL을 다루기 위해선 먼저 구조를 파악하는것이 좋아보인다.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들을 잘 정리정돈하여 이용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존재한다. 난잡함을 줄이고 정리하기 위해 구조가 필요하고 MySQL에서의 자료의 저장 구조는 다음과 같다. MySQL은 크게 세가지의 구조로 나뉠 수 있고, 강의 정보를 예로 들어 표현해본다. 1. Table :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교수명, 강의명, 학점 등이 직접적으로 저장된다. 파일. 2. Sch.. [HTML] POST방식으로 데이터 전달받기 이전 포스트에서 text타입 input과 textarea로 각각 title과 description을 전송하였었다. 말그대로 전송만 하였을뿐 이 데이터를 캐치해서 활용해줄 방식은 다음과 같다. var qs = require('querystring'); var body = ''; request.on('data', function(data){ body += data; }); request.on('end', function(){ var post = qs.parse(body); var title = post.title; var description = post.description; }); 조각 조각 들어오는 데이터를 data로 받아 body에 하나로 모은다. 데이터 전송이 끝나면 이를 객체화 하여 변수에 저장한다.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24 다음